IP주소
ARP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 IP주소로부터 MAC 주소를 구하는 IP와 MAC주소의 다리 역할을 하는 프로토콜입니다.
홉바이홉 통신
IP주소를 통해 통신하는 과정을 홉바이홉 통신이라고 합니다. 홉이란 건너뛰는 모습을 의미합니다.(통신망에서 각 패킷이 여러 개의 라우터를 건너가는 모습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것입니다.)
통신 장치에 있는 라우팅테이블의 IP를 통해 시작 주소부터 시작하여 다음 IP로 계속해서 이동하는 라우팅 과정을 거쳐 패킷이 최종 목적지까지 도달하는 통신을 말합니다.
라우팅 테이블이란
송신지에서 수신지까지 도달하기 위해 사용되며 라우터에 들어가 있는 목적지 정보들과 그 목적지로 가기 위한 바업ㅂ이 들어 있는 리스트
게이트웨이
서로 다른 통신망,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네트워크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관문 역할을 하는 컴퓨터나 소프트웨어를 두루 일컫는 용어입니다.
IP 주소 체계
IP 주소는 IPv4와 IPv6로 나뉩니다. IPv4는 32비트를 8비트 단위로 점을 찍어 표기합니다.
클래스 기반 할당 방식
IP 주소는 현재 A, B, C, D, E 다섯 개의 클래스로 구분하는 클래스 기반 할당 방식을 사용합니다. 앞에 있는 부분을 네트워크 주소, 그 뒤에 있는 부분을 컴퓨터에 부여하는 주소인 호스트 주소로 놓아서 사용합니다.
DHCP
DHCP는 IP주소 및 기타 통신 매개변수를 자동으로 할당하기 위한 네트워크 완리 프로토콜입니다. 이 기술을 통해 네트워크 장치의 IP주소를 수동으로 설정할 필요 없이 인터넷에 접속할 때마다 자동으로 IP주소를 할당할 수 있습니다.
NAT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는 패킷이 라우팅 장치를 통해 전송되는 동안 패킷의 IP 주소 정보를 수정하여 IP 주소를 다른 주소로 매핑하는 방법입니다. IPv4 주소 체계만으로는 많은 주소들을 모두 감당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 NAT로 공인 IP와 사설 IP로 나눠서 많은 주소를 처리합니다.
NAT를 쓰는 이유는 주로 여러 대의 호스트가 하나의 공인 IP 주소를 사용하여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함입니다. NET의 장점은 NAT를 이용하면 내부 네트워크에서 사용하는 IP 주소와 외부에 드러나는 IP 주소를 다르게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내부 네트워크에 대한 어느 정도의 보안이 가능해집니다. 하지만 NAT는 여러 명이 동시에 인터넷을 접속하게 되므로 실제로 접속하는 호스트 숫자에 따라서 접속 속도가 느려질 수 있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CS 공부 & 기초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유 자원과 임계 영역 (2) | 2024.09.10 |
---|---|
[운영체제] 프로세스와 스레드 (1) | 2024.09.08 |
[네트워크] 네트워크 기기 (1) | 2024.08.29 |
좋은 객체 지향 설계의 5가지 원칙(SOLID) (0) | 2024.08.22 |
3 Layer Architecture (0) | 2024.08.14 |